
미국 주식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금융 용어 20가지
미국 주식 시장은 글로벌 금융 시장의 중심으로, 다양한 경제 지표와 금융 용어가 투자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국 주식에 투자하려면 경제 지표와 금융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주식 투자 시 반드시 알아야 할 20가지 금융 용어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GDP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GDP는 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경제 성장률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GDP가 증가하면 경제가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감소하면 경제가 위축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시: 미국의 GDP가 3% 증가하면 경제가 성장하고 있으며, 기업의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주식 시장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인플레이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CPI가 상승하면 물가가 오르고 있음을 의미하여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예시: CPI가 5% 상승하면 물가가 급격히 오르고 있다는 의미이며, 이는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PPI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물가지수)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PI가 상승하면 기업들의 생산 비용이 증가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PPI가 4% 증가하면, 기업들은 생산비 증가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려 할 가능성이 큽니다.
4. NFP (Non-Farm Payrolls, 비농업 고용지수)
미국의 비농업 부문에서 창출된 일자리 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매월 첫 번째 금요일에 발표되며, 미국의 노동 시장이 얼마나 건강한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시: NFP 수치가 예상보다 낮다면, 노동 시장이 위축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경기 둔화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5. Unemployment Rate (실업률)
경제 활동 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실업률이 낮을수록 경제가 강하고, 소비가 활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시: 실업률이 3%대로 유지되면 경제가 안정적이며, 기업들도 신규 채용을 지속할 가능성이 큽니다.
6. 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연방공개시장위원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산하 기관으로, 금리 정책과 통화 공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 FOMC가 기준금리를 0.5%p 인상하면, 주식 시장은 하락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7. Federal Funds Rate (연방기금금리)
미국의 기준금리로, 은행 간 초단기 대출에 적용되는 이자율입니다.
예시: 연방기금금리가 5%까지 상승하면, 대출 부담이 증가하여 소비와 투자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8. Interest Rate (금리)
중앙은행이 설정하는 기준금리로, 대출과 예금에 대한 이자율을 결정합니다.
예시: 금리가 낮으면 모기지 대출이 증가하여 주택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9. Yield Curve (수익률 곡선)
단기 및 장기 국채의 금리 차이를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예시: 수익률 곡선이 역전되면 경기 침체가 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10. Treasury Bonds (미국 국채)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경제 전망과 인플레이션 기대치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예시: 10년물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 주식 시장은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11. Core CPI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소비자물가지수입니다.
예시: 근원 CPI가 상승하면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12. PMI (Purchasing Managers' Index, 구매관리자지수)
제조업 및 서비스업 부문의 경제 활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예시: PMI가 50 이상이면 경제 확장이 진행 중임을 의미합니다.
13. ISM Manufacturing Index (ISM 제조업 지수)
미국 제조업의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시: ISM 지수가 55라면 제조업이 성장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14. Retail Sales (소매 판매 지수)
소비자의 소비 지출을 측정하는 지표로, 소비 경기와 경제 성장 전망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시: 소매 판매 지수가 높으면 소비 심리가 강하다는 신호입니다.
15. Housing Starts (주택 착공 건수)
새로운 주택 건설이 시작된 건수를 의미합니다.
예시: 주택 착공이 증가하면 건설업체 및 관련 산업이 활성화됩니다.
16. Consumer Confidence Index (소비자 신뢰지수)
소비자들이 경제 전망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예시: 소비자 신뢰지수가 상승하면 경제가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17. Debt Ceiling (부채 한도)
미국 정부가 차입할 수 있는 최대 부채 한도를 의미합니다.
예시: 부채 한도가 상향되지 않으면 정부 기관 운영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18. Tech Sector (기술주 섹터)
IT 및 기술 기업이 포함된 섹터입니다.
예시: 금리가 상승하면 기술주들은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19. FAANG Stocks (FAANG 주식)
페이스북(메타),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알파벳) 등 주요 기술 기업을 의미합니다.
예시: FAANG 주식은 미국 증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합니다.
20. Quantitative Easing (양적 완화, QE)
연준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국채 및 자산을 매입하는 정책입니다.
예시: QE가 시행되면 주식 시장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이 급락할 때, 이렇게 대응하세요! (8) | 2025.03.09 |
---|---|
미국 로봇 관련 유망 주식 분석 (나스닥, S&P 500, 다우존스 상장 기업) (4) | 2025.03.02 |
빅베어 AI홀딩스 분석: 인공지능 산업의 선두주자 (0) | 2025.02.25 |
2025년 2월 25일 기준 미국 주식 급락 원인 분석 및 AI 및 양자컴퓨터 섹터 영향 (10) | 2025.02.25 |
최근 금값 급등 현상 분석 및 개인 투자 전략 (0) | 2025.02.25 |